반응형
신규간호사라면 간기능검사(Liver Function Test, LFT)를 정확히 이해해야 합니다.
간은 대사, 해독, 담즙 생성 등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, 간 손상은 혈액검사 수치 변화로 가장 먼저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오늘은 AST, ALT, ALP, 빌리루빈, ALB(Albumin) 를 중심으로 정상 수치, 임상 해석, 간호 포인트를 정리했습니다.
1. 간기능검사(LFT)란?
간기능검사(LFT, Liver Function Test)는 혈액검사로
간세포 손상, 담즙 배설 기능, 단백질 합성 기능을 평가하는 검사입니다.
주요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AST (GOT): 간세포, 심장·근육에도 존재
- ALT (GPT): 간세포 특이성 높음
- ALP: 담즙 배설 경로·담도 질환 반영
- 총·직접 빌리루빈: 담즙 배설 상태·황달 평가
- Albumin (ALB): 간의 단백질 합성 능력
- PT/INR: 간의 응고인자 합성 평가 (필요 시)
2. 정상 수치 정리
검사항목 | 정상 수치 |
AST(GOT) | 10~40 U/L |
ALT(GPT) | 7~56 U/L |
ALP | 44~147 IU/L |
총 빌리루빈 | 0.3~1.2 mg/dL |
Albumin | 3.5~5.0 g/dL |
✅ 신규간호사 TIP
- AST/ALT 상승 → 간세포 손상
- ALP·빌리루빈 상승 → 담도 폐쇄·담즙 정체
- Albumin 감소·PT 연장 → 만성 간질환, 합성기능 저하
3. 간기능검사 필요한 상황
3-1. 급성·만성 간질환 의심 시
- 황달, 소양증, 간비대, 피로감
- 간염(A/B/C형) 진단·추적
3-2. 약물·독성 모니터링
- 간독성 약물 예시
- 항결핵제(INH, 리팜핀, 피라진아마이드)
- 아세트아미노펜 과량
- 메토트렉세이트, 항암제, 일부 항생제
3-3. 수술 전 평가
- 마취·수술 전 간 기능 확인 필수
3-4. 알코올성 간질환·지방간 평가
- 음주력, 비만, 당뇨 동반 시 정기 확인
4. 검사 결과 해석 포인트
4-1. AST/ALT 상승 패턴
- ALT 단독 상승 → 간 특이성 ↑ (급성 간염)
- AST > ALT → 알코올성 간질환 의심
- AST·ALT 수천 이상 → 급성 독성간염·허혈성 간손상
4-2. ALP·빌리루빈
- ALP 상승 → 담도 폐쇄, 담석증, 담즙정체
- 총·직접 빌리루빈 상승 → 황달 원인 감별
4-3. Albumin·PT(Prothrombin Time): 간 기능과 혈액 응고 능력을 평가하는 주요 지표
- Albumin 저하 → 만성 간질환·영양부족
- PT(프로트롬빈 시간) 연장 → 간의 응고인자 합성 저하
<부연 설명>▶ Albumin (알부민):
- 간에서 합성되는 주요 단백질 중 하나입니다.
- 혈액 내 삼투압 유지, 영양소 및 호르몬 운반 등의 역할을 합니다.
- 간 기능이 저하되면 알부민 수치가 감소합니다.
▶PT (Prothrombin Time):- 혈액 응고 과정에서 프로트롬빈이 트롬빈으로 전환되는 시간을 측정합니다.
- 간에서 혈액 응고 인자들이 합성되므로, 간 기능이 저하되면 PT가 길어집니다.
- INR(International Normalized Ratio) 값으로 표준화하여 사용하기도 합니다.
5. 간호 포인트
- 채혈 전 준비
- 일반적으로 금식 필요 없음
- 약물 복용 여부 기록(특히 간독성 약물)
- 검사 후 확인
- AST/ALT 상승 시 원인 질환 확인
- 고빌리루빈혈증 시 황달·소양증 관찰
- 신규간호사 실무 TIP
- 수술 전 LFT 상승 시 → 마취과·내과 보고
- 항결핵제·항암제 투여 환자는 정기적 모니터링
- 급격한 AST/ALT 상승 시 독성 간손상 의심 후 즉시 보고
6. 임상 적용 사례
💡 케이스 1: 급성 간염
- 30세 남성, 피로·황달
- AST 320, ALT 450
→ 급성 B형간염 → 격리·간호 필요
💡 케이스 2: 알코올성 간질환
- 음주력 있는 50세 남성
- AST 200, ALT 80 (AST>ALT)
→ 알코올성 간염 패턴
💡 케이스 3: 담도 폐쇄
- 담석증 환자, 황달·소양증
- ALP·빌리루빈 상승 → ERCP(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)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조영술 필요
7. 신규간호사를 위한 요약 정리
- AST/ALT는 간세포 손상 여부 확인 지표
- ALP/빌리루빈은 담즙 배설 확인 지표
- Albumin/PT는 간의 단백질 합성 기능 확인 지표
- 결과 변화 시 약물·질환·수술 전 상태 종합 판단
8. 마무리
간기능검사는 단순한 수치가 아니라
간의 손상, 담즙 흐름, 단백질 합성 능력을 모두 보여줍니다.
신규간호사는 다음 사항들을 반드시 숙지해야 합니다.
- AST/ALT 상승 패턴 이해
- 약물·수술 전후 모니터링
- 황달·소양증 등 증상과 연결
✅ 이 글이 도움 되셨다면 티스토리 구독 & 댓글 부탁드립니다.
💡 다음 편 예고 : 다음 시리즈에서는 신규간호사용 심전도(EKG) 기초를 정리하겠습니다.
반응형
'간호 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BGA(동맥혈 가스검사) 완전정리- 신규간호사용 교육자료 (0) | 2025.08.01 |
---|---|
심전도(EKG) 완전정리- 신규간호사용 교육자료 (2) | 2025.08.01 |
혈당검사(FBS/HbA1c) 완전정리-신규간호사용 교육자료 (1) | 2025.08.01 |
전해질(Na/K/Cl) 검사 완전정리-신규간호사용 교육자료 (1) | 2025.08.01 |
BUN/Cr 검사 완전정리-신규간호사용 교육자료 (3) | 2025.08.01 |